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회계약설: 홉스, 로크, 루소의 정치철학 비교

by dailypick4 2024. 10. 18.

사회계약설은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설명하는 중요한 정치철학 개념으로, 사회 구성원이 서로 계약을 통해 정부나 공동체를 구성한다는 이론입니다. 이 개념은 토마스 홉스(Thomas Hobbes), 존 로크(John Locke), 그리고 장 자크 루소(Jean-Jacques Rousseau)에 의해 각각 다른 관점에서 발전되었습니다. 이 세 철학자는 각각의 사회계약론을 통해 인간의 자연 상태, 권력의 정당성, 그리고 정치적 자유에 대해 독특한 견해를 제시했습니다.

 

1. 사회계약설이란?

사회계약설은 개인들이 상호 계약을 통해 사회를 구성하고 정부의 권위를 정당화하는 이론입니다. 사회계약론자들은 인간이 본래 자연 상태에서 살아가다가 특정 계약을 통해 정부를 형성한다고 주장합니다. 이 계약의 목적은 개인의 권리와 자유를 보장하는 동시에 공동체의 질서와 안정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세 가지 대표적 사회계약론자인 홉스, 로크, 루소는 각각 다른 방식으로 이 계약의 성격과 목적을 설명했습니다.

 

 

2. 토마스 홉스의 사회계약설

2-1. 자연 상태: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

토마스 홉스(1588-1679)는 그의 저서 <리바이어던(Leviathan)>에서 인간의 자연 상태를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으로 묘사했습니다. 그에 따르면, 자연 상태에서 인간은 서로를 끊임없이 의심하고 자신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싸워야 하는 혼란스러운 상태에 놓여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인간은 자기 보존을 위해 다른 사람을 해치지 않을 수 없습니다.

 

2-2. 사회계약과 절대군주

홉스는 인간이 이러한 혼란을 피하기 위해 사회계약을 맺고 절대적인 권위를 가진 군주에게 권력을 양도한다고 보았습니다. 즉, 개인들은 자신의 권리를 포기하고 강력한 지도자에게 절대 권한을 부여하여 사회적 평화를 유지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 절대 군주는 법과 질서를 유지하는 유일한 수단이며, 이를 통해 인간은 전쟁 상태를 벗어나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습니다.

 

 

3. 존 로크의 사회계약설

3-1. 자연 상태: 평등과 자유

존 로크(1632-1704)는 홉스와는 달리, 인간의 자연 상태를 보다 긍정적으로 보았습니다. 그는 자연 상태에서 인간은 자연법에 따라 평등하고 자유로운 존재라고 주장했습니다. 이 상태에서 인간은 자신과 타인의 권리를 존중하며, 자연법에 따라 살아갑니다. 즉, 인간은 선천적으로 생명, 자유, 재산에 대한 권리를 가지고 있으며, 이 권리는 신성 불가침합니다.

 

3-2. 사회계약과 제한된 정부

로크에 따르면, 사회계약은 개인들이 자신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정부를 형성하는 과정입니다. 그러나 로크의 사회계약설에서 정부는 제한된 권력을 가지며, 국민의 동의에 기반한 정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만약 정부가 권력을 남용하거나 국민의 권리를 침해한다면, 국민은 저항할 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로크의 사회계약설은 자유주의 정치철학의 기초를 마련했습니다.

 

 

4. 장 자크 루소의 사회계약설

4-1. 자연 상태: 순수한 인간

장 자크 루소(1712-1778)는 그의 저서 <사회계약론(Du Contrat Social)>에서 인간이 자연 상태에서 본래 순수하고 자유로운 존재였다고 주장했습니다. 루소는 인간이 사회화되기 전에는 타인을 착취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평등한 관계를 유지했다고 보았습니다. 그러나 사유재산의 개념이 등장하면서 인간은 불평등해지고, 사회적 갈등이 시작되었다고 생각했습니다.

 

4-2. 일반 의지와 사회계약

루소의 사회계약은 개인의 자유를 유지하면서도 공동체의 공익을 지향하는 개념입니다. 그는 일반 의지(General Will)라는 개념을 통해 개인의 의지가 아닌, 공동체 전체의 의지가 사회를 이끌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개인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공동체의 일반 의지에 맞추고, 이를 통해 진정한 자유를 얻을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루소의 사회계약론은 직접 민주주의평등주의적 성격을 띠며, 현대 민주주의 사상에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5. 세 철학자의 사회계약설 비교

 

철학자 자연 상태의 인간 사회계약의 목적 정부 형태 및 권력
토마스 홉스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 질서와 안전을 위한 절대 군주 권력 부여 절대 군주제 (강력한 중앙 권력)
존 로크 평등하고 자유로운 상태 생명, 자유, 재산 보호와 제한된 정부 제한된 정부, 국민의 동의와 저항권
장 자크 루소 순수하고 평등한 인간 공동체의 일반 의지에 따라 자유와 평등 보장 직접 민주주의, 일반 의지에 기반한 사회

 

 

세 철학자의 사회계약론은 인간의 자연 상태에 대한 관점, 사회계약의 목적, 정부의 형태와 권력에 대한 이해가 다릅니다. 홉스는 혼란을 피하기 위해 강력한 절대 군주제를 주장한 반면, 로크는 개인의 권리를 보호하는 제한된 정부를 옹호했습니다. 루소는 공동체의 일반 의지를 강조하며 민주적이고 평등한 사회를 주장했습니다.

 

 

6. 사회계약설의 현대적 의의

사회계약설은 오늘날의 정치철학과 정부 형성에 중요한 기초를 제공합니다. 현대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국민의 동의에 기반한 정부 정당성이 강조되며, 헌법은 이러한 사회계약의 결과물로 이해됩니다. 또한, 루소의 일반 의지 개념은 오늘날 공동체주의와 직접 민주주의 논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사회계약설은 여전히 국가 권력의 정당성과 국민의 자유를 논의하는 데 핵심적인 철학적 틀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홉스, 로크, 루소는 각기 다른 사회계약론을 통해 인간과 정부의 관계를 설명했으며, 이들은 현대 정치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홉스는 절대 군주의 권위를 강조했고, 로크는 국민의 권리 보호와 정부의 제한을 주장했으며, 루소는 공동체 전체의 의지를 통해 자유와 평등을 실현하려 했습니다. 이들의 이론은 여전히 정치적 논의의 중요한 기초로 남아 있습니다.